흉통
Jangsarang
장사랑박종범내과 흉통/부정맥/심부전
세심한 진료와 치료에 따뜻함과 정성까지 담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흉통이란
가슴 중앙부위가 격심하게 쥐어짜는 듯한 통증으로 순환기 질환의 가장 중요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.
하지만 심장 외의 여러 장기(대동맥, 폐동맥, 기관지, 폐, 종격종, 식도, 홍벽, 근육, 갈비뼈, 신경 등)에서
비롯된 질환에 의해서도 흉통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흉통의 증상
  • 1
    심한 통증이 옵니다.
  • 2
    호흡곤란(가슴 중앙 부위)이 옵니다.
  • 3
    흉통이 3~5분간 지속되다가 휴식에 의해 사라집니다.
  • 4
    차가운 날씨, 식사 후 통증이 자주 발생합니다.
  • 5
    아침시간에 통증이 발생됩니다.
  • 6
    설하 니트로 글릿린 투여로 통증이 완화됩니다.
부정맥
  • 심장은 자기 주먹 정도 크기의 장기이며, 두 개의 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  • 심장박동은 동방결절이란 조직에서 형성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 일어나는데,
    부정맥은 이러한 심박동이 불규칙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.
  • 부정맥의 유무는 심장이 빠르게 또는 불규칙하게 뛸 때 스스로 손목의 맥을 짚어 짐작할수는 있으나 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.
  • 안정시 심장박동수는 분당 60~100회 정도입니다.
부정맥의 심전도 검사
심전도란 부정맥을 진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법입니다.
심장이라는 모터 안에 내장되어 있는 발전기에서 발생하여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포착하여 화면이나 종이에 표기해 주는 검사법입니다.

  • 1
    신호의 반복속도가 과도하게 느리거나 상황에 맞지 않게 빠른 경우
  • 2
    규칙성이 없어진 경우
  • 3
    규칙적인 신호 사이에 불규칙적인 신호가 끼여 있는 경우
  • 4
    신호의 규칙성이나 반복 속도는 저상적이지만 신호의 모양이 이상한 경우
심부전
  • 관상동맥질환, 판막질환 등 대부분의 심장질환의 말기에 심장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생기는 질환입니다.
  • 피곤함, 부종, 숨찬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치료가 늦어질 경우 입원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.